시민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자동차를 보급하여 깨끗한 서울의 하늘을 만들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겠습니다.
01. 추진배경 및 필요성
- 친환경 자동차의 보급 확대를 통하여 서울시 대기질 개선에 기여하겠습니다.
- 신재생 융합 친환경 자동차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여 제로 탄소 충전을 실현하고 충전 불편을 덜겠습니다.
02. 주요 추진 사업 개요
전기차 충전 및 인프라 구축

- 에너지를 직접 생산하면서 소비하는 주체로서 태양광 발전을 통해 생산한 전력으로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겠습니다.
- 서울시 전기차 공용 충전 중심의 인프라를 구축 및 운영하여 편리하게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양방향 충방전 통합관리 시스템 모델 V2G(Vehicle-to-Grid) 확립을 추진하여 친환경 에너지자립형 도시를 만들겠습니다.
신재생에너지 융합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

-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을 통해 생산된 전력을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저장하여 전기차 충전용 전력으로 공급하는 "솔라스테이션" 을 구축하여 서울시 대기질환경 개선 및 친환경에너지 보급에 기여하겠습니다.
수소전기차 충전 및 인프라 구축
- 수소전기차는 수소와 공기가 연료전지에서 반응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생산된 전기를 이용해 구동되는 친환경 자동차
- 수소탱크: 충전소에서 충전한 수소를 고압(700bar)으로 저장
- 연료전지 스택: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으로 전기생산
- 배터리: 연료전지를 보조해주는 역할(~20kWh), 발전된 전기의 저장 및 보조전원의 역할, 수소전기차에 설치된 배터리만으로 20km 주행 가능
-모터: 생산된 전기를 이용하여 자동차 바퀴를 구동
- 수소 충전소는 수소 공급방식(자체 수소생산 여부)에 따라 분류
- 국내에 구축된 수소충전소는 대부분 튜브트레일러(off-site)이며, 상암수소스테이션은 국내 유일한 직접 생산방식(on-site)
- Off-site 방식: 부생수소를 튜브트레일러 등으로 공급
- On-site 방식: 도시가스 개질, 수전해 기술 등으로 수소를 직접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