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에 만나는 시원한 집단에너지,지역냉방 대규모 열원시설에서
경제적으로 생산된 온수 또는 냉수를 일정구역에 포괄적으로 공급하여 냉방하는 방식
지역냉방이란?
01. 지역냉방은?
업무용 빌딩, 주상복합건물, 체육센터, 아파트등 사용자가 지역 난방용 온수를 이용하여 흡수식 냉동기를 가동하는 새로운 냉방 방식으로 실외기가 필요없고 전기와 프레온 가스를 사용하지 않아 경제적이며 안전하고 쾌적한 친환경 시스템입니다.

- 발전소에서 연료LNG를 사용 보일러에서 증기 생성
- 생성된 증기는 지역난방배관을 통해 집합시설(아파트, 빌딩)의 열교환기로 공급
- 공급된 증기는 열교환기를 통해 온수(115℃)로 만들어져 흡수식 냉동기를 가동
- 가동된 냉동기가 만든 냉수가 3~4℃이면 각 사용처에 공급되고 사용된 냉수가 13℃이상이면 냉동기로 회수
- 사용된 온수의 온도가 70℃로 낮아지면 지역난방배관을 통해 발전소로 회수
지역냉방 효과
01. 지역냉방의 효과
업무용 빌딩, 주상복합건물, 체육센터, 아파트등 사용자가 지역 난방용 온수를 이용하여 흡수식 냉동기를 가동하는 새로운 냉방 방식으로 실외기가 필요없고
전기와 프레온 가스를 사용하지 않아 경제적이며 안전하고 쾌적한 친환경 시스템입니다.

-
- 냉방비용이 저렴하고 생활이 쾌적함
- 지역냉방 요금은 저렴하고 편리합니다.
- 소음, 진동이 없고 24시간 쾌적한 실내 환경 제공
- 이사할때 발생되는 철거 또는 재설치 비용(10~15만원)없음
-
- 아파트 브랜드 가치 향상
- 천정 실내기만 설치 개별 에어컨이 필요 없어 넓은 공간 활용
- 실외기가 없어 조용하고 아파트 미관이 깨끗함
-
- 부대효과
- 전기방식의 에어컨 대신 중온수를 이용하므로 여름철 국가 전력수급 안정에 기여
- 에너지 절감을 통한 환경개선 및 사회적 비용경감
- 프레온가스 대신 물(이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을 이용하므로 오존층 파괴 보호
지역 냉방의 종류
공급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온수 이용형과 냉수직 공급형으로 구분
01. 온수 이용형(증기)
수송관을 통해 공급된 온수(증기)가 건물에 설치된 흡수식냉동기 또는 제습냉방기를 거치면서 냉수 또는 냉기를 만들고 이를 통해 냉방

02. 냉수 직공급형
집단에너지시설 자체에서 냉수를 만들어 각 건물에 공급

- 냉수생산 공급시설(발전소, 히트펌프들)에서 생산된 냉수가 수송관으로 이동하여 냉수열 교환기를 거쳐 사용자 시설로 공급
- 공급된 냉수가 사용자 시설에서 사용되어 온도가 7℃이상이 되면 냉수열 교환기를 통해 공급시설로 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