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데이터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을 실시하여 효과적인 에너지 정책을 발굴하고 에너지 신사업을 지원합니다.

01. 배경 및 필요성
- 에너지수급 환경 : 원전, 대형 송전설비 등 대규모 에너지 공급시설 건설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 기술적 환경 : ICT-에너지 융복합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분산형 전원의 설치 비용이 점차 하락하고 있습니다.
- 대외적 환경 : 전 지구적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압력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 사업적 환경 : ICT 융복합 기술과 연계한 에너지 수요관리 및 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서울시 에너지 소비 환경
- 우리나라 산업부문의 최종에너지소비량은 총 에너지소비량의 62%를 차지합니다.
- 서울의 경우 산업부문은 9%에 불과하고 건물부문 에너지소비량이 57% 달합니다.
-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건물부문의 에너지 효율개선이 서울에너지공사의 핵심 추진과제입니다.
02. 주요 사업 추진 개요
- ICT 활용 건물 효율화 등 원격 데이터 기반의 건물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추진합니다.
- 분산형 에너지 공급 및 수요를 최적화하기 위한 빅데이터 분석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합니다.
- 전력피크절감을 위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한 전력수요관리사업을 진행합니다.
- V2G(Vehicle to Grid), V2V(Vehicle to Vehicle), V2B(Vehicle to Building) 등 데이터 연계 친환경 모빌리티 서비스를 개발합니다.
- 빅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실제적인 에너지절감 방안을 도출합니다.
[서울시 건물에너지 데이터 통합관리시스템]